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BTP
- 자바 클래스
- tm
- visual studio code
- java
- BOBF
- 알고리즘
- udemy
- sap
- 백준 알고리즘
- 파이썬
- ui5
- Algorithm
- Fiori
- S/4HANA
- 클래스
- Eclipse
- 개발
- python
- 맥북
- SAP 번역
- ABAP
- mac
- FPM
- Deep Learning
- html
- 자바
- 이클립스
- module
- BOPF
Archives
- Today
- Total
z2soo's Blog
[백준] 2838 행렬 덧셈 본문
반응형
문제
2738번: 행렬 덧셈
첫째 줄에 행렬의 크기 N 과 M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행렬 A의 원소 M개가 차례대로 주어진다. 이어서 N개의 줄에 행렬 B의 원소 M개가 차례대로 주어진다. N과 M은 100보다 작거나 같
www.acmicpc.net
풀이
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
list_a = []
list_b = []
for _ in range(n):
temp_list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list_a = list_a + temp_list
for _ in range(n):
#처음에 m으로 작성하는 바람에 정방행렬이 아닌 경우 오류 발생
temp_list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list_b = list_b + temp_list
k = 1
for a, b in zip(list_a, list_b):
if k < m:
print(a+b, end=' ')
else:
print(a+b)
k=0
k=k+1
Point
- N*M 행렬이라고 했을 때, 예제 입력 값만 보고 정방행렬이라고 판단한 부분
> 행렬의 열 입력받는 횟수를 m으로 두어 런타임 오류 발생 - 두 리스트의 각 원소를 더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함수(zip)을 사용하여 코드 단축
반응형
'Algorithm > Algorithm 문제풀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2677 단지번호 붙이기 (0) | 2023.03.19 |
---|---|
[백준] 1260 DFS와 BFS (0) | 2023.03.19 |
[백준] 2178 미로탐색 (1) | 2023.03.19 |
[백준] 1157 단어 공부 (0) | 2022.12.30 |